오늘은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복지혜택을 바우처 형식의 카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도 이런 많은 혜택들이 있는지 처음 알게되었는데요. 많은 분들이 관심이 없어서 모를 수도 있는 것 같아, 정리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국민행복카드는 많은 복지바우처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더라고요.
우선,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진료비 그리고 이와 연계된 사회 서비스 사업 9종의 서비스 혜택과 신청방법, 사용방법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행복카드란?
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가바우처를 한 장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2. 국민행복카드 문의처
3. 국민행복카드 발급대상
4. 국민복지 바우처 사용처
1)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1) 지원대상
임신·출산(유산·사산 포함)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 (1세 미만의 영유아의 법정대리인 포함)
(2) 혜택
임신 1회당 100만원 이용권 국민행복카드 지원 (다태아 임산부는 140만원 지원)
※ 분만 취약자 20만원 추가
(3) 신청방법
① 산부인과 방문 신청서상의 임신. 출산 확인란 확인
② 가까운 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 또는 카드 영업점방문
③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지급신청서 제출
④ 국민행복카드 신청/발급 (BC카드/롯데카드/삼성카드/KB국민카드/신한카드)
(4) 사용방법
국민행복카드를 이용하여 전국 요양기관에서 본인부담금 결제
※ 카드 수령 후 분만예정(출산·유산진단)일로부터 2년까지 사용가능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제도를 알려드립니다.
우리나라가 정말 저출산 국가가 맞긴 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정부 지원금이 있는 걸 보니까요. 그럼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에 대해 알아볼까요? 1.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제도란?
bluetiger0919.tistory.com
조산아 및 저체중 출생아 외래진료비 본인부담금 경감 제도( 경감범위/ 적용기간/ 구비서류/ 신청서 접수 )
조산아 및 저체중 출생아 외래진료비 본인부담금 경감 제도( 경감범위/ 적용기간/ 구비서류/ 신
1. 적용대상 재태기간(임신기간) 37주 미만의 조산아 또는 출생체중 2,500g 이하의 저체중 출생아(건강보험 가입자, 피부양자) 2. 적용기간 신청(등록) 일로부터 출생 후 5년이 되는 날까지 3. 경감범
bluetiger0919.tistory.com
2023년 꼭 알아야 하는 연령대별 복지혜택!!(아동.청소년혜택/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의혜택/중장년층의혜택/노년층의혜택)
2023년 꼭 알아야 하는 연령대별 복지혜택!!(아동.청소년혜택/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의혜택/중장년
정부에서 연령대별로 여러 가지 복지혜택을 내놓았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꼼꼼하게 챙겨서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해 봅시다. 1. 아동. 청소년 혜택 1) 부모 급여 신설 및 기저귀 분위 지원 확대
bluetiger0919.tistory.com
2)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진료비
(1) 지원대상
만 19세 이하 산모로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
(2) 혜택
임산부가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하여 모든 의료기관(2020.7.1.약국포함) 급여 또는 비급여 의료비 만1세 미만 영유아가 모든 의료기관(약국포함)에서 의료비, 처방 약제비
(3) 신청방법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을 이용한 온라인접수
「청소년산모 임신출산의료비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신용, 체크, 전용카드 세 가지 형태가 있으며, 만 14~19세 미만의 청소년은 체크카드와 전용카드 발급이 가능합니다. 체크카드는 은행 계좌가 개설되어야 발급 가능하며 체크카드 발급이 불가한 경우 부모의 동의를 얻어 전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만 14~19세 미만의 청소년산모가 부모 동의 없이도 일부 카드사를 통해 국민행복 전용카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BC카드(우리은행), 롯데카드, 삼성카드만 가능)
국민행복카드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은 BC카드(1899-4651), 롯데카드(1899-4282), 삼성카드(1566-3336), 신한카드(1544-8868), KB국민카드(1599-7900)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4) 사용방법
국민행복카드를 이용하여 지정요양기관에서 본인부담금 결제(카드 수령 후 분만예정일 이후 2년까지)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만13세~23세 청소년에게 연12만원지급 신청 서두르세요~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만13세~23세 청소년에게 연12만원지급 신청 서두르세요~
서울에서 청소년들을 위해 시행되는 많은 복지혜택에 비해 경기도는 참 볼 것이 없다 했는데, 이런 제도가 있습니다. 가구의 소득기준이나 재산기준 없이 지원대상 나이면 됩니다. 1. 경기도 청
bluetiger0919.tistory.com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한 번 신청하고 계속 지원받으세요!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한 번 신청하고 계속 지원받으세요!
가정 형편이 어려워 가장 필요한 생필품인 생리용품은 여성 청소년들에게 많은 부담일 수 있습니다. 너무도 다행인 것은 여성가족부에서 이 비용을 지원하다고 하니, 어떻게 신청하고 지원받는
bluetiger0919.tistory.com
3) 사회 서비스 사업 9종
(1) 지원대상
(2) 혜택
(3) 신청방법
대상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산모신생아건강관리, 장애인활동지원은 온라인 신청 가능
바로가기(http://online.bokjiro.go.kr/apl/aplMain.do)
(4) 사용방법
국민행복카드를 이용하여 바우처 서비스 결제
* 사회서비스사업은 본인부담금을 먼저 납부하셔야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본인부담금 납부 방법은 제공기관 직접납부, 지정 가상계좌 납부 방법이 있습니다.
□ 제공기관 직접 납부사업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발달재활서비스, 언어발달지원,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지정 가상계좌 납부사업
: 노인 돌봄 종합서비스, 장애인활동지원, 가사·간병방문지원사업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사업을 소개합니다.
우리나라에는 희귀 질환을 앓고 있는 분이 생각보다는 좀 있는 것 같습니다. 희귀 질환으로 인한 치료법도 없고, 그 병치료에 따른 의료비는 가족들에게 많은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이러한 어려
bluetiger0919.tistory.com
"암환자 의료비 지원사업"을 알려드립니다.
세상은 빠르게 고도화 되어가고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암이란 병은 모두에게 무섭고 두려운 병인 것 같습니다.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에게는 더욱 그렇게 느껴질 것 같
bluetiger0919.tistory.com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지원사업(의료기관 찾기/의료기관 목록/지원대상/지원금액/제출서류)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지원사업(의료기관 찾기/의료기관 목록/지원대상/지원금액/제출서류)
1.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란?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에서 유소견자로 의뢰된 환자에 대해서는 발달 관련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진료한 후 정밀평가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 과정은 면담 및
bluetiger0919.tistory.com
치매가족휴가제와 노인장기요양 (장기요양신청/장기요양지원/장기요양급여종류/장기요양 인정절차)
치매가족휴가제와 노인장기요양 (장기요양신청/장기요양지원/장기요양급여종류/장기요양 인정
환자만 편한 병이 치매라고 하는데요. 치매는 당사자인 본인보다 가족이 힘든 병인 것은 맞는 것 같습니다. 정상적인 활동이 어려우니, 가족들이 그 환자를 혼자 둘 수도 없고, 돌보는 가족도 세
bluetiger0919.tistory.com
오늘은 우선 국민행복바우처 사용대상 중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 밖에도 아래와 같이 추가 사용처가 있습니다. 알아보고 추가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4) 기저귀, 조제분유 구매
5) 첫 만남 이용권
6) 에너지 바우처
7) 아이 돌봄 지원사업
8)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9) 보육료 지원
10) 유아학비 지원
'깨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행복카드 복지바우처 사용처 3 ( 아이 돌봄 지원사업/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보육료 지원사업/ 유아학비 지원 ) (0) | 2023.02.03 |
---|---|
국민행복카드 복지바우처 사용처 2 (기저귀.조제분유 구매/첫 만남 이용권 / 에너지 바우처 ) (0) | 2023.02.02 |
희귀질환 유전자 진단지원 ( 지원범위/ 신청방법 / 의뢰기관신청 / 진단기관 조회) (0) | 2023.01.31 |
2023년 서울시 교통정책 변화 정리!(우회전신호/통합정기권/조기폐차지원/자전거뺑소니처벌/오토바이책임보험의무화) (0) | 2023.01.30 |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착용의무 장소/과태료부과대상/과태료부과예외/수영장, 목욕탕, 사우나, 헬스장 이용시 적용기준) (0) | 2023.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