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연령대별로 여러 가지 복지혜택을 내놓았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꼼꼼하게 챙겨서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해 봅시다.
1. 아동. 청소년 혜택
1) 부모 급여 신설 및 기저귀 분위 지원 확대
- 만 0세 ~1세 아동 양육 가구에 월 35~79만 원 지급
- 기저귀 지원 확대 64,000원 /월 ☞ 80,000원/월
- 조제분유 지원 확대 86,000원/월 ☞ 100,000원/월
- 한 부모 양육비 지원 확대 중위 52% ☞ 60%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만13세~23세 청소년에게 연12만원지급 신청 서두르세요~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만13세~23세 청소년에게 연12만원지급 신청 서두르세요~
서울에서 청소년들을 위해 시행되는 많은 복지혜택에 비해 경기도는 참 볼 것이 없다 했는데, 이런 제도가 있습니다. 가구의 소득기준이나 재산기준 없이 지원대상 나이면 됩니다. 1. 경기도 청
bluetiger0919.tistory.com
2)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상향( 120% -> 130% )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사업을 소개합니다.
우리나라에는 희귀 질환을 앓고 있는 분이 생각보다는 좀 있는 것 같습니다. 희귀 질환으로 인한 치료법도 없고, 그 병치료에 따른 의료비는 가족들에게 많은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이러한 어려
bluetiger0919.tistory.com
2.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의 혜택
1) 1학기 학자금 대출 금리 1.7% 동결( 2023년 )
- 2022년 학자금 대출 금리는 1.7%였는데요. 이것을 동결하여 2023년도에도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 2022년 학자금 대출 상환기준 소득은 2,394만 원에서 2023년 2,525만 원으로 인상하였으며, 특수. 전문대학원생까지 확대됩니다.
교보생명에서 신년 "희망다솜 장학생"을 선발합니다.
공부를 할 만큼 충분한 역량은 있으나, 학비와 생활비 조달 등 주변 환경이 허락되지 않을 때만큼 좌절스러운 일이 없겠지요? 다행히, 국내의 여러 장학재단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장학사업
bluetiger0919.tistory.com
2) 청년 지원 금융상품 출시
- 청년 도약 계좌 도입 ☞ 신규 306만 명 혜택
- 청년 내일 저축계좌 : 기존 104,000명 ☞ 개정 171,000명
- 병사 월급 + 사회 진출 지원금 : 기존 월 82만 원 ☞ 130만 원 (상병기준)
- 장병 내일 준비금 전역 시 최대 : 1,290만 원 지원
3. 중장년층의 혜택
1) 구직 촉진 수당 : 월 50만 원 ☞ 최대 월 90만 원
2) 조기 취업 성공 수당 : 월 50만 원 ☞ 최대 월 125만 원
3) 중장년 새 출발 컨설팅 지원 대상 : 5천 명 ☞ 1만 명
4. 노년층의 혜택
1) 기초연금 인상
노인 기초연금액 : 308,000원/월 ☞ 322,000원/월
2) 우리나라 연금제도
- 부동산 담보 : 주택연금, 농지연금
☞ 주택연금 : 주택연금 가입 기준은 현행 공시가격 9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상향
- 개인연금 : 연금저축, 연금보험
- 퇴직연금 : DB형(확정급여형), DC형(확정기여형), IRP (개인형 퇴직연금제도)
- 공적연금 : 국민연금, 공무원. 사학. 군인별정우체국연금
- 기초연금 :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
* 연금제도를 잘 활용하면 세액공제 혜택과 함께 좀 더 여유 있는 노년을 계획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21.gif)
이상으로 간략하게 각 세대별로 변화가 있는 여러 가지 혜택을 알아봤습니다.
의미 있는 정부의 정책이길 기대해 봅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깨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연말정산 변경사항 정리!!(소득공제항목/세액공제항목/비과세항목) (0) | 2023.01.05 |
---|---|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만13세~23세 청소년에게 연12만원지급 신청 서두르세요~ (0) | 2023.01.05 |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늦지 않게 빨리 신청하세요 ( 바우처 10만원/인당 ) (0) | 2023.01.03 |
2023년 꼭 알아야 하는 부동산 제도!!(안심 전세앱/주택마련금융정책완화/내집마련청약/월세이용혜택) (0) | 2023.01.02 |
2023년 금융관련 세금변화! (금융투자소득세유예/가상자산과세유예/증권거래세인하/연금계좌세제혜택/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1) | 2022.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