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28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착용의무 장소/과태료부과대상/과태료부과예외/수영장, 목욕탕, 사우나, 헬스장 이용시 적용기준) 드디어 길고 길었던 코로나19가 거의 마무리되고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세균의 완전한 박멸이 아닌 전 세계는 공생의 길을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제는 풍토병 수준으로 토착화된 느낌도 듭니다. 2023년 1월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법적 의무가 해제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모든 곳에서의 해제가 아니므로, 당분간은 주머니에서 마스크를 떠나 보내긴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럼, 언제 벗어도 어디에서 착용해야하는지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내 마스크 착용의무 유지장소 1) 의료기관.약국 의료기관 및 약국 (예 : 대형마트 안에 있는 약국을 이용 시에는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됩니다.) 2) 감염취약시설 요양병원, 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 복지시설 3) 대중교통수단 노선버스, 철도,.. 2023. 1. 30.
중증질환 산정특례 제도 알아보기(산정특례의 등록 / 적용범위/ 기타희귀질환자 의료비지원사업) 1. 중증질환 산정특례 제도란? 산정특례제도란 높은 진료비가 발생하는 중증질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자 환자 본인이 부담하는 진료비를 경감해 주는 제도입니다. 희귀 질환자로 확진받은 자가 등록절차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한 경우 본인부담률을 10%로 경감해 줍니다. 2. 산정특례의 등록 및 절차 1) 등록 대상자 건강보험가입자 중 담당의사로부터 희귀 질환자로 확인받은 자로서 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에 의해 희귀 질환 산정특례 대상 질환군에 해당하는 자 구비서류 : 담당의사가 자필 서명한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 신청서’ 1부 2) 등록체계 의료기관 :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 신청서’발급, EDI 등록대행 대상자 : 공단에 등록신청(병원등록도 가능) 3. 적용범위 입원·외래 본인부담.. 2023. 1. 28.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지원사업(의료기관 찾기/의료기관 목록/지원대상/지원금액/제출서류) 1.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란? 영유아 발달선별검사에서 유소견자로 의뢰된 환자에 대해서는 발달 관련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진료한 후 정밀평가 여부를 판단합니다. 이 과정은 면담 및 환자의 행동관찰, 진찰소견 등을 통해 발달지연 유무를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이후 발달 정밀평가, 원인 정밀평가, 치료 및 추적관찰의 과정을 통해 정밀검사가 진행됩니다. 2.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과정 1) 전문가 평가 발달선별검사에서 유소견자로 의뢰된 환자에 대해서는 발달 관련 전문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진료한 후 정밀평가여부를 판단합니다. 이 과정은 면담 및 환자의 행동관찰, 진찰소견 등을 통해 발달지연 유무를 파악하는 단계입니다. 2) 발달 정밀평가 첫 단계에서 전문가에 의해 영역별 발달이상이 확인되면 두 번째 .. 2023. 1. 27.
영유아 개월별 발달과제와 영유아 발달장애 종류 (언어장애/지적장애/자폐스펙트럼/ADHD/뇌성마비) 1. 영유아 개월별 발달과제 알아보기 2. 영유아 발달장애 종류 1) 발달성 언어장애 원인과 특징 (1) 원인 일반적으로 영유아가 만 2세가 되어서도 두 단어 연결구를 말하지 못하고, 만 3세가 되어도 세 단어 연결문장을 말하지 못하면 발달성 언어 지연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언어 지연의 최소한 6개월 이상 적절한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경우 발달성 언어장애라고 합니다. 지적장애, 자페스펙트럼 장애, 뇌성마비, 청각 장애, 교육 부족, 정서 장애 등이 언어 지연의 원인이 됩니다. 그러한 원인이 없는 발달성 언어장애의 경우(청력 문제나 다른 분야의 지연은 없으면서 언어 발달만 늦는 경우), 언어의 표현만 늦는 경우를 표현성 언어 장애, 언어의 이해와 표현 모두가 늦는 경우를 혼합된 수용성-표현성 .. 2023. 1. 27.